본문바로가기

뉴스룸


한식과 한옥 통한 한(韓)살림의 현대적 계승
전남 화순군 도곡면 '화순 양참사댁' 체험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 152호 지정된 종가
300년 고택서 외국인이 춤추는 '한류 현장'
엄마는 음식대가·딸은 문화기획 에디터

▲전남 화순군 도곡면에 300년 된 한옥 '양참사댁' 고택에 살면서 한국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풀어내 손님을 맞는 손영자 씨와 조아애 씨 모녀


"우리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풀어내가지고 체험하실 수 있게 하는 게 저희 취지입니다. 전통문화라고 해서 진짜 전통을 체험한다기보다는 전통의 의미를 결합해가지고 풀어내는
방식은 현대적으로 하려고 합니다." 

전남 화순군 도곡면에 300년 된 한옥 고택에 살면서 한국 전통문화

이들이 거주하는 화순 양참사댁 한옥은 국가민속문화재 152호로 1984년 국가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국가문화유산입니다.

이곳에서 12년째 고택살이를 하고 있는 손영자씨는 "처음에는 한옥이 일단 불편해도 정서적으로 좋아하니까 선택했다"면서 "그런데 지금 시대 흐름에 따라서 살다 보니
내 소유여서가 아니라 어쨌든 사명감이 생겼다"고 말했습니다.

손영자 씨는 "한옥과 한식체험을 위해 한국에 온 외국인 손님들이 정보를 더 잘 알고 온다"면서, "여기까지 오셨을 때는 서울도 한 번 정도는 왔다가 오신 분들인데 여기에 오면
서울 경복궁 갔을 때보다 공기나 그 느낌들이 다른 매력이 있어서 흥분을 한다"고 전했습니다.
를 현대적으로 풀어내 손님을 맞는 모녀가 있습니다.

딸 조아애 씨는 "저희가 12년 해보니까 제도라는 게 쉽게 개선이 되는 부분이 아니라서 저희가 그 제도에 맞춰서 산다"며 "왜냐하면 이렇게 사는 것 자체가, 이 집이 구조가 불편한데
그런 것도 마음대로 손댈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조 씨는 "이런 전통 한옥에 살면 그런 제도에 순응하면서 살아야 되지 않을까 싶다"면서 "한옥에서 느낄 수 있는 그 불편함도 다 체험이다"고 덧붙였습니다.

남도의 시골마을에서 고택의 문을 열어 한옥과 한식, 전통문화를 체험하러 전 지구촌에서 찾아오는 방문객들을 위해 행복하게 일하는 모녀의 이야기에 관심이 갑니다.

전남 화순 도곡면에 있는 국가민속문화재 152호 화순 양참사댁은 1984년 국가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화순군 도곡면 달아실 마을의 제주 양씨 종가입니다.
달아실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산수화가인 학포 양팽손(1488~1545)과 후손들의 동족 마을입니다.

그리고 이 양참사댁은 전형적인 남도 양반 고택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주공간입니다. 이 고택은 국가문화유산으로 지금은 조형식·손영자 씨 부부와 문화 기획자인 딸 조아애 씨가 살고 있습니다.
2013년 고택을 인수해 살고 있습니다. 국가유산 한옥에서 사는 일은 여러 가지로 번거롭습니다. 고택 수리와 가꾸기도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 화장실과 욕실을 따로 달아낼 수도 없고, 매일 관리하는 데도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손영자 씨가 이 양참사댁의 주인입니다.
유네스코 광주지부의 이사, 농업 산학협동 심의회의 위원입니다.

화순 향토음식 연구회(2015~2021년), 화순 발효 연구회(2022~현재)에서 활동했고, 향토음식을 연구하고 만들어 온 것은 30여 년이 넘었습니다.
그동안 건강 개선 요리 경연대회, 푸드 코디네이터 대상을 수상했고(2016년), 향토 식문화 대전에서 장관상을 수상했고(2016년), 대한민국 한식대가로 지정됐습니다.

안채는 지어진 지 300년이 됐습니다. 바로 '한식 대가' 손영자 씨와 '문화기획자'인 딸 조아애 씨입니다.

THE KOREAN
FOOD FORUM

K-food to culture,
economy and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