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뉴스룸




기후위기와 식량안보, 에너지 전환이라는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인 논의의 장이 중앙아시아에서 열렸다.
대한민국 국회와 정부 대표단, 그리고 기업·학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특히 K-Food와 친환경 에너지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모델이 주목을 끌었다.


지난 7월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키르기스 공화국 수도 비슈케크에서는 '기후·물 라운드테이블' 국제회의가 개최됐다.
이번 회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회의원들이 참여한 행사로, 라오스, 캄보디아,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등 아시아 9개국
국회의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대한민국은 한정애 전 환경부 장관(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을 단장으로, 김주영 의원, 김성원 의원, 김소희 의원 등
여야를 아우른 국회의원 공식대표단을 파견했다. 정부 측에서는 환경부를 비롯해 코이카(KOICA), 한국수자원공사(K-water),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등 8개 주요 기관이 참여했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대한민국한식포럼 안노찬 연합회장이 한국 대표 기업의 일원으로 초청되어, K-Food를 기반으로 한 식량안보
모델과 국내 친환경 에너지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국내 최고 흐름식 소수력발전 기업인 ‘리오에너지’의 소진대 대표의
흐름식 발전기술과 경상국립대학교 정종일 교수가 개발한 콩종자를 제시하며 현지 식품 생산 및 가공 체계에 소수력발전을 접목해
에너지 자립과 식량 자급을 동시에 실현하는 통합모델을 제안했다.


이 융합모델은 특히 중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처럼 영토는 넓지만 전력생산이 취약하고 부족한 지역에서 실현 가능성이 높은
대안으로 평가받았다. K-Food의 제조 및 유통 기술은 농산물 고부가가치화를 가능하게 하며, 흐름식 소수력 발전은 소외지역의 전력
공급과 냉장 유통 기반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이 모델이 단순한 경제 협력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기반의 불안정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역별 식량 자립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전략이라는 것이다.


한편, 한정애 전 환경부 장관이 이끄는 한국 대표단은 각국의 물 관련 정책 사례와 연구 결과를 공유하며 회의의 주요 결과물인 ‘비슈케크 선언문’을
채택했다. 이 선언문은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물·에너지·식량 안보의 통합적 접근을
주요 방향으로 명시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K-Food의 확장은 단순한 문화 전파를 넘어서, 기술과 결합한 생존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소수력발전 같은 
친환경 기술과 융합할 경우, 한국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모델이 아시아 지역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회의에서 글로벌 녹생성장기구(GGGI)는 2025년 51개국에서 25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ESG의 중요한 단체로
김상협 사무총장이 새로운 리더로 선출되었으며 이번 국제회의에서도 중요한 안건을 제시하였다.


안노찬 연합회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K-Food는 이제 전 세계가 주목하는 식문화일 뿐 아니라, 미래 식량 안보를 위한 핵심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번 국제무대에서 제안한 융합모델이 아시아의 새로운 협력 패러다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대한민국의 기술력과 문화산업, 그리고 공공외교의 결합이 기후위기라는 전 지구적 문제 앞에서 어떻게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을지,
비슈케크에서의 이틀은 분명한 메시지를 던졌다.


THE KOREAN
FOOD FORUM

K-food to culture,
economy and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