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현황)
한식의 날 제정 출발은 2013년 한식,외식관련 50여 단체가 참여 한식의 날 추진 위원회를 출범. 한식의 날 기념식 행사를 추진하였고
광화문 광장에서 제1회,제2회,제3회를 개최 하였습니다 이후는 개별적으로 한식의 날 행사를 추진하였으며 본 단체에서는 제4회-제12회까지
한국식문화세계화대축제 행사 및 교육, 문화, 체험, 출판, 홍보, 언론 등 국내외 다양한 한식 관련 행사를 추진 하였습니다
(추진배경)
K-콘텐츠 한류 확산과 함께 K-FOOD(한식)은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글로벌 푸드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정부는 한식 산업을 300조 원,
전체 식품산업을 1,100조 원 규모로 육성하고,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K-미식벨트’를 조성 중입니다. 현재 해외 한식당은 12,000여 개에 달하며,
한식은 경제·문화·산업·관광을 아우르는 국가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한식문화 세계화 한식의 날 행사를 통하여
한식의 문화적·산업적 가치를 알려야 됩니다
(추진목적)
한식의 날 제정은 단순한 기념일 행사가 아닙니다 한식을 외식산업과 더불어 발전시키고자 하는것으로 한식의 미래 성장 동력을 선포하는 국가적 가치입니다.
이에 문화적가치(전통 음식문화의 보존과 계승,한류 음식문화의 확장,한식의 정체성 확립) 경제적 가치(한식 외식산업 활성화,한식 산업의 수출 증대,한식 기반
미식관광 산업 육성) 글로벌가치(한식 세계화와 국제적 확산,미식관광을 통한 국가 브랜드 강화) K-FOOD 한식을 통하여 통하여 문화·경제·관광·글로벌 확산을
아우르는 국가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자 대한민국의 미래를 여는 국가적 비전 입니다.
(한식의 날 제정 발의)
어기구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대표 발의로 한식의 날 제정이 발의 되었습니다 또한 한식의 날 제정이 국가기념일로 확정이 되면
한식관련 단체 누구나 한식진흥법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하여 한식의 날의 취지에 맞는 행사와 교육 및 홍보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식군이 하나로 민,관,산,학이 함께 합력해서 한식을 글로벌 문화 콘텐츠로 성장시키고, K-Food 산업의 확산과 경쟁력 강화를 선도해야 합니다.
-
PREV 포럼단체 명예훼손 처벌을 위한 회원 제보
-
NEXT 다음 글이 없습니다.